8.5 업데이트는 9월 4일 목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약 4시간의 정기 점검을 통해 적용됩니다.
신규 실험체 - 헨리
암기를 사용하는 새로운 실험체 헨리가 루미아 섬에 등장합니다.
헨리는 출시 후 2주일 간 A-coin 9,900개에 판매되며, 9월 9일(화)까지 랭크 대전에서 선택할 수 없습니다.
“시간을 되돌리고 싶다고... 생각해본 적 있나?“
역할군: 스킬 딜러

시차 균열 (P)
헨리가 적 실험체에게 2.5초 내에 최대 체력의 35%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히면 타이머를 부착합니다. 타이머는 2초 뒤 부착된 적에게 40/70/100(+스킬 증폭의 30%)(+대상 잃은 체력의 8/12/16%) 의 스킬 피해를 입힙니다.
타이머가 부착된 적이 피해를 받기 전에 사망하는 경우 쿨다운이 80% 감소합니다.
쿨다운: 12/10/8초


시계바늘 (Q)
헨리가 지정한 방향으로 분침을 던져 경로상 적에게 40/65/90/115/140(+스킬 증폭의 60%)의 스킬 피해를 입히며, 이동 방해 상태 적에게 적중 시 10(+헨리 레벨* 1)의 추가 고정 피해를 입힙니다.
3초 이내에 스킬을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재사용 시: 지정한 방향으로 시침을 던져 경로상 적에게 60/85/110/135/160(+스킬 증폭의 65%)(+대상 최대 체력의 5%)의 스킬 피해를 입히며, 이동 방해 상태 적에게 적중 시 20(+헨리 레벨* 2)의 추가 고정 피해를 입힙니다.
각 스킬에 적중한 두 번째 대상부터는 70%의 피해를 입힙니다.
분침 (Q1)
사거리: 7.8m
투사체 폭: 1.4m
투사체 속도: 17m/s
시침 (Q2)
사거리: 8.5m
투사체 폭: 1.8m
투사체 속도: 14m/s
스태미나 소모량: 40
쿨다운: 9/8/7/6/5초

시간 제어 장치 (W)
헨리가 지정한 위치에 4초 동안 유지되는 시간 제어 장치를 생성해, 장치 위의 적에게 0.5초 마다 10/20/30/40/50(+스킬 증폭의 20%)(+대상 최대 체력의 1/1/2/2/3%)의 스킬 피해를 입히며 이동 속도를 25% 감소시킵니다.
적 실험체 또는 보스 몬스터에게 적중 시 쿨다운이 5% 감소합니다.
시간 제어 장치 위로 헨리가 시간 도약을 할 경우, 장치의 유지 시간이 1초 연장됩니다.
사거리: 6.3m
피해 범위: 원형 반지름 2.5m
쿨다운: 14/13.5/13/12.5/12초
스태미나 소모량: 60

시간 도약 (E)
헨리가 0.7초 동안 정신을 집중해 시간을 빠르게 감아 지정한 위치로 순간 이동합니다. 이동한 위치가 시간 제어 장치 위인 경우, 장치 위 적들을 0.8초 동안 속박시키며 40/80/120/160/200(+스킬 증폭의 60%)의 스킬 피해를 입힙니다. 적 실험체가 장치 위에 있었다면 헨리의 이동 속도가 2초 동안 40% 증가했다가 서서히 감소합니다.
순간 이동을 시작할 때 시계바늘의 쿨다운이 40% 감소하고, 시간 제어 장치의 쿨다운이 20% 감소합니다.
사거리: 6.3m
쿨다운: 13/12.5/12/11.5/11초
스태미나 소모량: 50

시간 재구축 영역 (R)
헨리가 1.5초 동안 모든 방해 면역 상태로 주변에 영역을 전개해 100/150/200(+스킬 증폭의 50%)의 스킬 피해를 입히고, 50/100/150(+스킬 증폭의 35%)(+최대 체력의 8%)의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을 획득합니다.
영역은 유지되는 동안 적의 투사체를 80% 느려지게 하며, 이동 속도를 40%까지 서서히 감소시킵니다. 영역은 사라질 때 폭발하며 범위 내 적의 투사체들을 제거하고, 적에게 150/250/350(+스킬 증폭의 100%)의 스킬 피해를 입히며 0.8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피해 범위: 원형 반지름 4.5m
쿨다운: 80/70/60초
스태미나 소모량: 100
신규 스킨 및 이모티콘
바다의 화가 띠아 (희귀) 스킨이 출시됩니다.
“푸른 바다를 팔레트에 옮길 수 있어서 기뻐...”
헨리 쓸만하군, 이건 아니야, 느려, 아직 괜찮아 이모티콘이 출시됩니다.
8.5 확률형 아이템 변경 사전 안내
신규 스킨 추가 획득 확률 UP 이벤트 종료로 [스킨 데이터 박스] 확률이 변경됩니다.
변경되는 [스킨 데이터 박스] 구성품 및 확률은 공식 홈페이지 [박스 예정 확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작소 박스 사용 기한 설정 사전 안내
안정적인 서비스 환경 유지 및 향후 콘텐츠 업데이트의 원활한 적용을 위해 일부 박스/선택권에 대해 사용 기한을 설정하는 방향으로 시스템 개선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개발에 앞서 일부 박스와 선택권에는 사용 기한이 적용될 예정임을 사전 안내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작소 박스 사용 기한 설정 및 시스템 개선 예정 안내] 공지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 기한 없는 박스/선택권
스킨 데이터 박스, 연구소 데이터 박스, 시즌 조각팩 등 주요 박스류는 기한 제한 없이 영구 보관이 가능합니다.
또한, 주요 실험체/스킨/이모티콘/프로필 관련 선택권 또한 영구 보관이 가능합니다.
사용 기한이 적용될 예정인 박스 (개발 예정)
홀리데이, 체인지, 썸머 등 프로모션 및 시즌 내 등장한 박스/선택권은 사용 기한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개발 완료 이후 사용 기간이 설정되며, 시작일 및 만료일은 추후 개발이 완료되면 별도 공지사항으로 안내 예정입니다.
별도 기한 없이 만료되는 박스
시즌/이벤트 전용 아이템(꽃 박스, 카드 박스, 도전 박스, 악마의 주머니 등) 개발 완료와 함께 만료되어 삭제될 예정입니다.
시스템
오브젝트 강조 표시 기능
기존의 LUMI 동선 표시 기능이 주요 오브젝트 정보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오브젝트 강조 표시 기능’으로 개선됩니다.
이제 확장맵에서 Shift 키를 누르고 있으면 맵이 어두워지며, 다음과 같은 핵심 오브젝트 및 정보가 밝게 강조되어 표시됩니다.
안내 로봇(LUMI)의 이동 동선 및 판매 예정인 시그니처 아이템 아이콘
생명의 나무, 운석
알파, 오메가, 위클라인 박사의 등장 예정 위치 또는 현재 위치
영웅 등급 이상의 항공 보급 상자
균열 및 큐브
키오스크, 하이퍼루프, 보안 콘솔 등 그 외의 오브젝트들은 여전히 확인할 수 있지만, 강조되지는 않습니다.
게임 준비 단계 이모티콘 사용 기능 추가
이제 게임 준비 단계에서도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정 표현 단축키(T) 또는 세트 별 지정 단축키(기본값 미지정)를 홀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모티콘은 팀 실험체 위에 표시됩니다.
리유나이티드 / 프로토콜 컴플리트 / 킬 캐치 안내
게임 중 만나는 주요 상황을 위한 신규 안내 기능이 추가됩니다.
- 리유나이티드: 팀원이 1명만 살아남은 상태에서 부활하여 다시 3명이 되었을 때 발생
킬 캐치: 아군이 킬을 기록했을 때, 처치한 팀원의 초상화에 표시
프로토콜 컴플리트: 코발트 프로토콜 모드에서, 한 팀의 라이프 포인트가 0이 되는 순간
매치메이킹 조정
아시아 서버 상위권 큐가 세분화 되며 최상위 큐가 미스릴 8100점 이상으로 제한됩니다.
브리핑 룸
브리핑 룸에서 2주년 기념 장식물이 제거되고,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갑니다.
시즌 8 유니온 대전 종료 안내
시즌 8 유니온 대전이 종료됩니다. 참여해주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 시즌 8 유니온 대전(Beta) 종료 시간: 2025년 9월 3일 23:59 (KST) 입장 게임까지
- 티어별 보상
티어 | A-Coin | 연구소 데이터 박스 | 스킨 데이터 박스 세트 | 이모티콘 |
F | 500 | 승급 2회 | ||
E | 1,000 | |||
D | 2,000 | |||
C | 3,000 | 3 | ||
B | 5,000 | 5 | ||
A | 7,000 | 10 | ||
S | 10,000 | 3 | ||
SS | 15,000 | 5 | ||
SSS | 30,000 | 10 |
- 2025년 10월 23일 (목) 점검 후 보상이 지급될 예정이며, 2026년 1월 23일 (금) 23:59 (KST) 까지 게임에 접속해 보상 수령이 가능합니다.
- 보상 지급 시점에 해당 팀의 기록이 있는 경우에만 보상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동일 계정에 2개 이상의 팀이 있는 경우 가장 높은 티어의 팀을 기준으로 보상이 지급됩니다.
- 따봉 디나 이모티콘을 포함한 유니온 대전(Beta) 보상은 보상 기간 내 접속 시 우편으로 지급될 예정이며, 우편 지급일로부터 90일 이내에 획득 가능합니다.
- 단, 이모티콘 참여 보상은 팀 유지 여부와 상관없이, 시즌 기간 내 참여한 모든 팀에서 플레이한 기록이 합산됩니다.
게임 플레이
오브젝트 인접 출현 개선
생명의 나무, 운석, 알파, 오메가, 균열, 항공 보급상자 등 주요 오브젝트가 인접한 지역에 등장하지 않도록 개선합니다.
오브젝트 등장 로직을 개선하여 생명의 나무, 운석, 알파, 오메가, 균열, 항공 보급상자 등 주요 오브젝트가 한 지역에 동시에 등장하지 않도록 합니다.
단, 빈 자리가 없다면 예외적으로 등장할 수 있습니다.
항공 보급상자와 운석은 일부등장 위치를 옮겨, 다른 오브젝트와 지나치게 인접하지 않도록 합니다.
호텔, 묘지에서 생명의 나무와 지나치게 가까운 위치는 이제 항공 보급상자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생명의 나무 근처의 항공 보급 상자 스폰 위치가 좀 더 먼 곳으로 이동됩니다.
병원 지역에 운석이 다시 등장합니다.
운석이 등장할 수 있는 위치 예시
스타팅 포인트 별 재료 아이템 확정 수량 개선
스타팅 포인트 인근 아이템 박스에 분산 배치된 재료 아이템들의 최소 등장 개수를 늘려, 초반 재료 탐색에 실패하는 경우를 줄입니다.
3개 → 4개 배치: 원석, 배터리, 흑연, 피아노선
2개 → 3개 배치: 접착제, 유리병, 못, 화학품, 마패, 곡괭이, 붕대, 리본, 가위
1개 → 2개 배치: 레이저 포인터, 분필, 트럼프 카드, 얼음
빈사 스킬
연속해서 빈사 상태가 되었을 때, 빈사 스킬을 활용할 수 있도록 쿨다운 간격을 줄입니다.
분열 폭발(Q)
쿨다운 30초 → 10초
자가 제세동(R)
쿨다운 50초 → 20초
시야 제공 효과 이펙트 타이밍 개선
까마귀, 반딧불 꽃 등 시야 제공 효과가 유지되는 동안, 시야 제공 영역에 새로 진입한 적에게 시야 공유 이펙트가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개선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특성
지원
위압감 받는 피해 증가량 3% → 4%
전술 스킬
무효화
모듈 강화 시 모든 방해 효과 면역 상태 지속 시간 1초 → 1.5초
무기 스킬
톤파 - 고속 회전 (D)
피해 반사율 20/30/40% → 15/25/35%
실험체
나딘
나딘은 짧은 사거리에 비해 내구도가 낮아 교전에서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기본 체력을 상향하여 전투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도록 조정합니다.
또한, 활 나딘은 특히 위력이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W - 다람쥐 덫의 피해량을 강화해 보완합니다.
기본 체력 880 → 930
다람쥐 덫(W)
피해량 80/120/160/200/240(+추가 공격력의 100%)(+스킬 증폭의 75%) → 80/120/160/200/240(+추가 공격력의 100%)(+스킬 증폭의 80%)
나타폰
P - 슬로우 셔터의 피사체 피해 증가량을 하향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피해량을 견제합니다.
슬로우 셔터(P)
피사체 중첩 당 받는 피해량 증가 4/7/10% → 3/6/9%
니아
지난 패치로 전반적인 전투 능력이 강화되었으나,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남아 있습니다. 특히 부족한 생존력을 보완하기 위해 E - 1UP 성공 시의 이동 속도 증가 지속 시간을 늘려, 위기 상황에서 더 안정적으로 벗어날 수 있도록 조정합니다.
1UP(E)
이동 속도 증가 지속 시간 1.5초 → 2초
다르코
다르코는 꾸준히 높은 픽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방어적인 아이템 세팅 시 지나치게 강한 생존 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W - 수금의 추가 보호막량을 하향 조정하여 과도한 탱킹 능력을 견제합니다.
수금(W)
보호막 흡수량 50/75/100/125/150(+공격력의 50%) → 50/75/100/125/150(+공격력의 55%)
적중 시 추가 보호막 최대 체력의 7% → 6%
띠아
띠아는 지속적으로 우수한 지표를 보여주고 있어, 무기 숙련도 효과를 소폭 하향하여 전반적인 성능을 조정합니다.
방망이 무기 숙련도 레벨 당 스킬 증폭 4.5% → 4.4%
레녹스
레녹스는 탱커이면서도 일정 수준의 딜링 능력을 갖추는 것이 강점이지만, 현재는 평균 피해량이 부족해 그 장점이 드러나지 않고 있습니다. Q - 회오리 비늘의 가장자리 적중 피해량을 상향하여, 스킬을 잘 적중시켰을 때 더욱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줄 수 있도록 조정합니다.
회오리 비늘(Q)
가장자리 피해량 최대 체력의 2/4/6/8/10% → 3/5/7/9/11%
리 다이린
리 다이린은 스킬을 적절히 활용했을 때 높은 내구도와 순간 피해를 동시에 발휘하며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W - 술 마시기의 피해 감소량과 E - 술 뿌리기의 피해량을 하향하여, 내구도와 피해량을 함께 견제합니다.
술 마시기(W)
받는 피해 감소 55/60/65/70/75% → 50/55/60/65/70%
술 뿌리기(E)
피해량 80/130/180/230/280(+공격력의 90%) → 50/100/150/200/250(+공격력의 90%)
마커스
P - 전사의 투지의 충격 효과를 강화하여, 마커스가 스킬을 적절히 활용했을 때 더욱 높은 교전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합니다.
전사의 투지(P)
충돌 기절 지속 시간 0.5초 → 0.6초
매그너스
매그너스는 교전에서 안정적인 진입과 장시간 버티는 내구력을 바탕으로 강한 위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P - 근성의 방어력 증가량을 하향하여 내구도를 낮춥니다.
근성(P)
중첩 당 방어력 증가 1/2/3% → 1.5/2/2.5%
바냐
높은 실력대 구간에서 좋지 못한 지표를 보이고 있는 바냐의 내구도를 상향 조정합니다.
기본 체력 890 → 930
바바라
Q - BT-Mk2 센트리건은 높은 내구도와 피해량으로 인해 사거리가 짧은 적을 상대로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센트리건의 내구도와 피해량을 낮춰, 상대가 센트리건을 파괴하거나 무시하는 선택지를 가질 수 있도록 조정합니다.
BT-Mk2 센트리건(Q)
센트리건 기본 공격 피해량 40/50/60/70/80(+스킬 증폭의 20%) → 30/40/50/60/70(+스킬 증폭의 20%)
센트리건 방어력 85 → 80
샬럿
샬럿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낮은 지표를 보이고 있어, 무기 숙련도 효과를 강화하여 전반적인 위력을 높입니다.
아르카나 무기 숙련도 레벨 당 스킬 증폭 4.2% → 4.4%
수아
수아는 근접 전투에서 기대만큼의 강점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E - 돈키호테의 적중 시 쿨다운 감소 효과를 강화하여, 근접 교전에서의 위력을 보완합니다.
돈키호테(E)
적중 시 쿨다운 감소 25% → 30%
기억력-돈키호테(R-E)도 함께 적용됩니다.
슈린
슈린의 평균 피해량은 일정 수준 낮아졌으나, 뛰어난 기동성을 통해 여전히 높은 지표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Q - 비검잔위의 어검 회수 시 E - 비섬보의 쿨다운 감소량을 하향하여 기동성을 조정합니다.
비검잔위(Q)
회수 시 비섬보 쿨다운 감소량 70% → 60%
시셀라
시셀라는 교전에서의 영향력이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E - 나랑 놀자의 피해량을 상향해 스킬 적중 시 더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기본 방어력을 높여 생존력을 보완합니다.
기본 방어력 47 → 49
나랑 놀자(E)
피해량 90/110/130/150/170(+스킬 증폭의 60%) → 90/110/130/150/170(+스킬 증폭의 70%)
실비아
실비아는 평균 점수 획득률이 매우 높습니다. W - 프론트 플립의 피해량을 하향 조정해 스킬 연계 시 발생하는 순간 피해를 견제합니다.
프론트 플립(바이크 W)
피해량 60/100/140/180/220(+스킬 증폭의 65%) → 60/100/140/180/220(+스킬 증폭의 60%)
아드리아나
아드리아나는 지속 교전에서 지나치게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Q - 방화의 쿨다운을 감소시켜 근접 전투에서의 지속 교전 능력을 보완합니다.
방화(Q)
쿨다운 4.5초 → 4초
아비게일
아비게일은 현재 매우 낮은 지표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지속 교전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Q - 바이너리 스핀의 쿨다운을 감소시켜 전반적인 위력을 강화합니다.
바이너리 스핀(Q)
쿨다운 8/7/6/5/4초 → 7/6/5/4/3초
아야
스킬 증폭 아이템 세팅을 사용하는 아야가 무기 숙련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W - 고정 사격의 탄환 수 증가 효과를 보다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당 효과의 공격 속도 조건을 완화합니다.
고정사격(W)
탄환 수 증가 조건 추가 공격 속도 25% → 20%
아이솔
아이솔은 높은 순간 피해량을 통해 강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Q - 셈텍스 폭탄의 피해량을 낮춰 순간적인 피해 능력을 하향 조정합니다.
셈텍스 폭탄(Q)
추가 피해량 10/15/20/25/30(+공격력의 9%)(+스킬 증폭의 5%) → 10/15/20/25/30(+공격력의 7%)(+스킬 증폭의 4%)
얀
톤파 얀은 꾸준히 높은 픽률과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Q2 - 리핑 니 스트라이크의 스킬 증폭 계수를 하향하여 위력을 견제합니다.
니 스트라이크(Q)
리핑 니 스트라이크(Q2) 피해량 65/90/115/140/165(+추가 공격력의 90%)(+스킬 증폭의 80%)(+적 최대 체력의 6%) → 65/90/115/140/165(+추가 공격력의 90%)(+스킬 증폭의 70%)(+적 최대 체력의 6%)
요한
요한의 레벨 당 방어력을 상향해 내구도를 보완합니다.
레벨 당 방어력 2.3 → 2.5
윌리엄
E - 슬라이딩 캐치 사용 시 야구공을 좀 더 쉽게 클릭할 수 있게 합니다.
슬라이딩 캐치(E)
스킬 사용 가능한 야구공의 범위가 확대됩니다. (이동 지점은 기존과 동일)
유민
유민은 지속적으로 높은 평균 피해량과 픽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Q - 선풍의 강화 피해량을 하향하여 위력을 견제합니다.
선풍(Q)
바람지대 피해량 50/70/90/110/130(+스킬 증폭의 40%) → 40/60/80/100/120(+스킬 증폭의 40%)
이렘
이렘은 최상위권 구간에서 여전히 강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본 체력을 낮춰 전반적인 생존력을 하향 조정합니다.
기본 체력 990 → 930
일레븐
일레븐은 뛰어난 기동성에 더해 교전에서도 강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W - 자~ 집중!의 도발 지속 시간을 감소시켜 교전 능력을 일부 조정합니다.
자~ 집중!(W)
최소 도발 시간 0.45/0.55/0.65/0.75/0.85초 → 0.4/0.5/0.6/0.7/0.8초
최대 도발 시간 0.9/1.1/1.3/1.5/1.7초 → 0.8/1/1.2/1.4/1.6초
제니
픽률이 낮은 제니의 무기 숙련도의 효과를 강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권총 무기 숙련도 레벨 당 스킬 증폭 4.4% → 4.6%
카티야
카티야는 지난 패치에서 기본 공격 속도 상향 이후 매우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Q - 조준 사격의 적중 시 공격 속도 증가량을 하향하여, 과도하게 높아진 효율을 조정합니다.
조준 사격(Q)
공격 속도 증가 30/35/40/45/50% → 20/25/30/35/40%
키아라
R - 폭주의 지속 피해량과 체력 회복량을 상향하여 키아라의 지속 교전 능력을 강화합니다.
폭주(R)
지속 피해량 50/60/70(+스킬 증폭의 25%) → 60/70/80(+스킬 증폭의 25%)
체력 회복량 7/11/15(+스킬 증폭의 4%) → 10/15/20(+스킬 증폭의 5%)
프리야
Q - 개화의 선율의 만개 피해량을 상향해, 프리야의 부족한 피해량을 일부 보완합니다.
개화의 선율(Q)
만개 피해량 60/80/100/120/140(+스킬 증폭의 50%) → 60/80/100/120/140(+스킬 증폭의 55%)
피오라
Q - 팡뜨의 끝 지점 적중 시 이동 속도 감소 효과를 상향하여, 피오라가 거리 조절과 스킬 연계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팡뜨(Q)
끝 지점 적중 시 이동 속도 감소 30% → 40%
헤이즈
헤이즈는 원거리에서 안정적으로 피해를 누적하는 동시에 근접 교전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EQ - 기관단총 연사의 피해량을 하향하여, 근접 교전에서의 과도한 위력을 조정합니다.
40mm 유탄(Q)
기관단총 연사(E-Q)
피해량 40/80/120/160/200(+스킬 증폭의 70%)(+남은 탄창 1 * 스킬 증폭의 3%) → 40/80/120/160/200(+스킬 증폭의 65%)(+남은 탄창 1 * 스킬 증폭의 3%)
현우
P - 도그파이트의 체력 회복량을 낮춰 현우의 높은 지속 교전 능력을 하향 조정합니다.
도그파이트(P)
체력 회복량 최대 체력의 8/12/16% → 7/11/15%
아이템 스킬
예열 - 증강
최대 중첩 5 → 6
중첩 당 스킬 피해 증가 3% → 2.5%
적용 아이템: 쿠튀리에, 앙 가르드
무기
권총
스탬피드
마탄 - [고유 장착 효과]
피해량 캐릭터 레벨*4(+스킬 증폭의 30%)(+적 최대 체력의 6%) → 캐릭터 레벨*4(+스킬 증폭의 25%)(+적 최대 체력의 6%)
마탄의 사수
마탄 - [고유 장착 효과]
피해량 (스킬 증폭의 35%)(+적 최대 체력의 8%) → (스킬 증폭의 30%)(+적 최대 체력의 8%)
하이눈-새벽
마탄 - [고유 장착 효과]
피해량 (스킬 증폭의 35%)(+적 최대 체력의 8%) → (스킬 증폭의 30%)(+적 최대 체력의 8%)
돌격소총
엔데버 AX 공격력 75 → 72
석궁
샤릉가 공격력 84 → 86
템페스트 공격력 80 → 82
혈색반월 맞춤형 능력치 59 → 57
혈색반월-새벽 맞춤형 능력치 58 → 56
양손검
레바테인 공격력 50 → 53
방어구
옷
광학미채 슈트 방어력 11 → 12
성기사의 갑옷 체력 재생 200% → 100%
턱시도 방어력 11 → 12
고스트 방어력 17 → 18
길리슈트 방어력 17 → 18
배틀 슈트
간격 - [고유 장착 효과]
받는 피해 감소(근거리/원거리) 15/10% → 15/8%
핏빛 망토 스킬 증폭 25 → 28
머리
다비드 헤드폰
공격력 22 → 20
쿨다운 감소 15 → 20
레가투스
개시 - [고유 장착 효과]
공격 속도 증가 20% → 25%
쿨다운 15초 → 12초
성기사의 투구
방어력 17 → 15
쿨다운 감소 20 → 25
인사이트 공격력 20 → 25
페르소나 스킬 증폭 80 → 82
팔 / 장식
아흐라만의 손길
스킬 증폭 78 → 75
쿨다운 감소 15 → 20
클라다 반지
스킬 증폭 60 → 55
쿨다운 감소 15 → 20
틴달로스의 군주 스킬 증폭 75 → 80
코발트 프로토콜
인퓨전
2레벨 인퓨전
오버워치
쿨다운 감소 70 이상일 때 맞춤형 능력치 20 증가 → 쿨다운 감소 60 이상일 때 맞춤형 능력치 20 증가
3레벨 인퓨전
대지분쇄(삭제)더 이상 등장하지 않습니다.
상처 찢기
(근거리) 중첩 당 피해량 25 → 20
(원거리) 중첩 당 피해량 12 → 10
생명력 강탈
쿨다운 5초 → 6초
유독성 발자국
피해량 20(+대상의 최대 체력의 1%) → 10(+대상의 최대 체력의 1%)
철벽
방어력 증가 40 → 35
모든 피해 흡혈 증가 40% → 35%
전술 스킬
부착/추적
적중 피해량 100 → 150
돌진 피해량 100 → 150
투사체 속도 15m/s → 17m/s
쿨다운 25초 → 20초
임펄스
돌진 거리 6m → 5.5m
초월
쿨다운 24초 → 30초
퀘이크
쿨다운 24초 → 30초
코발트 프로토콜 모드 보정
니키
글러브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0% → 102%
르노어
기타 사용 시 받는 피해량 95% → 97%
마커스
도끼 사용 시 받는 피해량 104% → 102%
망치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2% → 104%
슈린
레이피어 사용 시 받는 피해량 95% → 93%
아야
권총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94% → 92%
유키
양손검 사용 시 받는 피해량 90% → 92%
이렘
투척 사용 시 받는 피해량 90% → 88%
재키
쌍검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97% → 95%
카티야
저격총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86% → 84%
피올로
쌍절곤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95% → 97%
론울프
재생성 키트
재생성 키트 1개 당 크레딧 전환 50 → 30
10레벨 이후 재생성(부활) 시간 10초 → 12초
승전보
처치 시 폭발 타이머 획득 시간 7초 → 10초
론울프 모드 보정
나딘
활 사용 시 받는 피해량 98% → 96%
레녹스
채찍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8% → 107%
받는 피해량 107% → 106%
리 다이린
쌍절곤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96% → 95%
르노어
기타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1% → 102%
마이
채찍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8% → 107%
받는 피해량 108% → 106%
매그너스
방망이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0% → 98%
망치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6% → 105%
받는 피해량 110% → 108%
셀린
투척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0% → 101%
받는 피해량 98% → 97%
수아
방망이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97% → 95%
받는 회복량 80% → 70%
망치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98% → 96%
받는 회복량 80% → 70%
시셀라
암기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1% → 102%
투척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2% → 103%
아델라
방망이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98% → 100%
레이피어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0% → 102%
아드리아나
투척 사용 시 받는 피해량 99% → 97%
아르다
아르카나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3% → 104%
알렉스
모든 무기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3% → 104%
얀
글러브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97% → 96%
톤파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0% → 98%
엘레나
레이피어 사용 시 받는 피해량 106% → 105%
이안
단검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98% → 95%
제니
권총 사용 시 받는 피해량 101% → 99%
캐시
쌍검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0% → 102%
클로에
암기 사용 시 받는 피해량 102% → 104%
테오도르
저격총 사용 시
입히는 피해량 102% → 104%
받는 피해량 98% → 96%
프리야
기타 사용 시 받는 피해량 98% → 96%
버그 수정 및 개선 사항
게임 플레이 개선 사항
실험체가 일정 시간 후 피해를 입히는 스킬로 빈사 시 킬 점수가 비정상적으로 적용되는 문제 수정
탈출 투표 진행 후 인벤토리가 가득 찬 상태에서 루프 카드키 - RED 습득 시 아이템이 사라지는 문제 수정
플레어건 R 사용 중 사망 후 부활 시 소란 핑이 실험체 기준으로 출력되는 문제 수정
게임 현황(Tab)에서 위클라인 박사 버프 표시가 팀 크기와 일치하지 않는 문제 수정
생존한 대상이 미니맵에 빈사 상태로 출력되는 문제 수정
미니맵 및 확장 맵에서 VLS가 충전 상태로 출력되지 않는 문제 수정
상대가 점령한 보안 콘솔에 오버레이 타이머가 출력되는 문제 수정
점령 상태의 보안 콘솔 화면이 회색과 녹색으로 교차하며 점멸하는 문제 수정
론울프에서 야생동물 처치 시 소음 핑 색상이 적군 색상으로 출력되는 문제 수정
팀원이 수직 발사 장치(VLS) 활강 중일 때 루프 카드키 - RED 를 사용할 수 없도록 규칙 변경
균열 지목 핑(Alt+좌클릭) 시 상호작용 불가 상태 및 남은 시간이 표시되도록 개선
전투 연구실의 상호작용 불가 상태 지목 핑(Alt+좌클릭) 관련 시스템 메시지 개선
사망 후 관전 상태에서 자신 및 아군의 이모티콘이 표시되도록 개선
컴뱃 에피네프린 아이템에 중요 아이템 강조 이펙트 및 사운드가 적용되지 않은 문제 수정
특정 상황에서 수직 발사 장치 (VLS) 활강 중 미니맵에 적 위치가 노출되는 문제 수정
전장의 안개에서 상대방이 호출한 ORB - 감시 오브의 시야 범위가 노출되는 문제 수정
전장의 안개에서 나는 아무 생각도 없다 비석의 이펙트가 노출되는 문제 수정
미러볼 드론 스킨 착용 중 드론 아이템 사용 시 시야 범위 이펙트 높이가 어색하게 출력되는 문제 수정
실험체 및 야생동물 시체 상자 아이템에 지목 핑(Alt + 좌클릭) 시 오버레이에 아이템 아이콘이 크게 출력되는 문제 수정
아이템 상자 UI에 잘못된 여백이 출력되는 문제 수정
사망 개요 정보에서 상태 이상 지속 시간에 디버프 지속 시간이 포함되는 문제 수정
특정 상황에서 일부 야생동물 공격 상태 및 추적 거리 아이콘이 출력되지 않는 문제 수정
사망 후 관전 상태에서 전투 연구실에 시체 지목 시 잘못된 시스템 메시지가 출력되는 문제 수정
인접한 시체 상자 병합 최대 개수가 의도와 다르게 적용되는 문제 수정
코발트 프로토콜에서 적 시체 탐색이 가능한 문제 수정
코발트 프로토콜에서 증폭 장치의 점령 오버레이 타이머에 진행 방향이 반대로 진행되는 문제 수정
실험체 및 무기 개선 사항
일부 스킨 착용 중 특정 스킬에 적중 시 잘못된 타격 이펙트가 출력되는 문제 수정
일부 실험체의 전술 스킬 및 아이템 스킬 툴팁에 근거리/원거리 상태가 실제 적용과 다르게 출력되는 문제 수정
특정 상황에 투사체가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문제 수정
일부 실험체가 암기 무기 마름쇠 투척(D) 시전 시 효과음이 출력되지 않는 문제 수정
악마사냥꾼 나딘 이미지가 의도와 다른 이미지가 적용되어 있는 문제 수정
르노어 고뇌의 광시곡(R) 정신 이상 적용 중인 버니스가 아군에게 기본 공격 시 피해가 적용되지 않는 문제
리오 정사필중(R) 전투 연구실에서 특정 위치에 사용 시 투사체가 사라지는 문제 수정
20년 전 마르티나 스킨 착용 중 취재 중(W) 피아식별 이펙트가 적용되지 않은 문제 수정
마커스 전투 교범(Q) 강화 기본 공격 시 아이템 스킬 예열 - 인내 중첩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 수정
매그너스 폭주 바이크(R) 사용 중 카메라 잠금전환 해제가 가능한 문제 수정
버니스 방어구 변경 시 장탄 수가 모두 소모된 것처럼 출력되는 문제 수정
비앙카 진조의 군림(R) 마법진 생성 중 마법진의 위치가 바닥에 고정되는 문제 수정
실비아 프론트 플립(오토바이W) 인디케이터와 실제 피해 범위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 수정
퍼펙트 딜리버리 실비아 스킨 착용 중 피니시라인(W) 피아식별 이펙트가 적용되지 않은 문제 수정
아야 고정 사격(W) 저격총 무기 사용 중 특정 상황에 탄환 수가 증가하지 않는 문제 수정
윌리엄 바닥에 떨어진 야구공의 클릭 판정 범위 개선
윌리엄 와인드업(W) 투사체 소멸 시 타격 이펙트가 비정상적으로 출력되는 문제 수정
유민 로비 애니메이션 출력 중 로비로 이동 후 실험체 상세 페이지 재 진입 시 이전 로비애니메이션 연출 이펙트가 출력되는 문제 수정
유키 일부 스킨 착용 중 쌍검 무기 사용 상태에서 머리치기!(Q) 시전 시 특정 이펙트가 출력되지 않는 문제 수정
프리야 개화의 선율(Q) 만개 시 효과음이 프리야 위치에서 출력되는 문제 수정
피올로 사슬묶기(E1) 사용 시 사슬 높이가 어색하게 출력되는 문제 수정
헤이즈 로켓 런처(R) 사용 중 무기 교체 시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문제 수정
로비 개선 사항
이미 종료된 게임의 리플레이에 일정 시간 동안 진입할 수 없는 문제 수정
청약철회에서 이벤트 NP로 구매한 상품의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출력되는 문제 수정
스플래쉬! 토큰 패키지 상품 구매 팝업에서 해금 관련 내용이 잘못 출력되는 문제 수정
설정 페이지에서 게임 준비 단계 진입 시 ENTER 키 입력이 불가능한 문제 수정
사용자 설정 대전 게임에서 특정 상황에 참여자가 나가기 시 방장도 나가기 처리되는 문제 수정
완료된 일부 퀘스트 북이 우측 정렬되지 않는 문제 수정
설정 > 입력 일부 영역 단축키가 미지정 상태로 적용되지 않는 문제 수정
개인 상점 갱신 알림이 00시로 설정되어 있는 문제 수정
보관함에 이모티콘 정렬 기능 추가(획득 일자 및 출시 일자 기준으로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 가능)
마지막 안전지대 가이드 영상 개선
교환소 와일드 카드 탭의 상품 필터 기능 강화 및 전반적인 사용 편의성 개선
전략맵의 스킨 선택 UI의 툴팁 정비 및 선택된 스킨이 보이도록 초기 포커스 개선
제작소 상자 리스트의 스크롤 가능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화살표 아이콘 추가
현재 게임에 등장하지 않는 '우주 큐브' 관련 업적의 아카이브 카테고리 이관
사용자 설정 대전 로비에서 퇴장 시, 홈 화면이 아닌 대전 리스트로 복귀하도록 동선 개선
게임 크레딧의 성우 정보 최신화
제작소에서 특정 상황에 박스 개봉 시 최근 획득 항목에 자동 분해된 아이템이 출력되는 문제 수정
트로피컬 디멘션 아비게일 폴짝 이모티콘의 겉옷이 어색하게 출력되는 문제 수정
실험체 상세 페이지에서 스탯 보기 수치와 인게임 스탯과 다르게 출력되는 문제 수정
유니온 대전 팀 로비에서 설정 > 홈 버튼 입력 시 로비로 이동하는 문제 수정
사용자 설정 대전 게임의 코발트 프로토콜 모드 방에서 모드 표시가 스쿼드로 노출되는 문제 수정
언어 변경 시 클라이언트가 재시작될 때 로딩 화면에 게임 모드 명칭이 출력되던 문제 수정
설정 > 게임 > 제작 순서 세부 설정 항목 텍스트 크기가 작게 설정된 문제 수정
패치 노트 정정 안내
지난 8.2 패치(7월 24일)에 추가된 일반 대전 MMR 변동 하한선에 대한 패치 내역이 누락되어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일반 대전 MMR 변동 하한선 안내
일반 대전에서 지나치게 높은 티어의 플레이어가, 사전구성팀 플레이 등의 사유로 MMR이 낮아져서 낮은 티어에 매칭되는 문제를 개선합니다.
정규 시즌에 달성한 랭크 티어에 따라 일반 대전 MMR이 일정 구간 이하로 감소하지 않습니다.
MMR 변동 하한선은 일반 대전과 코발트 프로토콜 모드에 적용됩니다.
론울프 모드는 MMR 변동 하한선이 적용되지 않습니다.